페드로 로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드로 로차는 우루과이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4번의 FIFA 월드컵에 연속 출전한 유일한 선수이다. 선수 시절 페냐롤과 상파울루 FC에서 활약하며, 우루과이 리그 우승,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인터컨티넨탈컵 우승 등 다수의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1967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우승을 이끌었고, 상파울루 FC에서 브라질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1997년에는 일본 J리그의 교토 퍼플 상가 감독을 맡았다. 2013년 척수소뇌변성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루이스 아르티메
루이스 아르티메는 공격수로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리그에서 득점왕을 차지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경험했으며,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에서 25경기 24골을 기록하고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6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 엘리아스 피게로아
칠레의 은퇴한 축구 선수 엘리아스 피게로아는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남아메리카 축구 역사상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여러 클럽에서 리그 우승과 남미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칠레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며 FIFA 월드컵과 코파 아메리카에서 활약했다. - 살토 출신 -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로, 나시오날, 흐로닝언, 아약스, 리버풀, 바르셀로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그레미우 등 여러 클럽과 우루과이 국가대표팀에서 공격수로 활약하며 다양한 우승을 경험했지만, 핵이빨 사건과 인종차별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살토 출신 - 에딘손 카바니
우루과이 축구 선수 에딘손 카바니는 현재 아르헨티나 보카 주니어스에서 공격수로 뛰고 있으며, 여러 클럽과 우루과이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2007년 남아메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2011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2018 FIFA 월드컵 예선 CONMEBOL 지역 득점왕을 차지했다. - 코리치바 FC의 축구 감독 - 도리바우 주니오르
도리바우 주니오르는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여러 브라질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은퇴 후 감독으로 전향하여 브라질 주요 클럽을 거쳐 2024년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코리치바 FC의 축구 감독 - 이메르송 레앙
이메르송 레앙은 브라질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으로, 골키퍼로 활약하며 1970년 FIFA 월드컵 우승과 브라질 국가대표 80경기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파우메이라스 등에서 다양한 우승을 경험했으며, 감독으로서도 여러 팀을 지휘하며 다양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페드로 로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페드로 비르힐리오 로차 프란체티 |
출생일 | 1942년 12월 3일 |
출생지 | 우루과이 살토 |
사망일 | 2013년 12월 2일 |
사망지 | 브라질 상파울루 |
키 | 1.83m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공격수 |
애칭 | El Verdugo (엘 베르두고, 사형 집행인)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클럽 경력 | 연도: 1960–1970 클럽: 페냐롤 출장: 159 득점: 81 연도: 1970–1977 클럽: 상파울루 출장: 393 득점: 119 연도: 1978 클럽: 코리치바 출장: 20 득점: 1 연도: 1979 클럽: 파우메이라스 연도: 1980 클럽: 방구 연도: 1979–1980 클럽: 네사 연도: 1980 클럽: 몬테레이 출장: 3 득점: 0 |
국가대표 경력 | 연도: 1961–1974 국가대표팀: 우루과이 출장: 52 득점: 17 |
수상 | |
메달 | 종목: 남자 축구 국가: 우루과이 대회: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수상: 우승 (1967년 우루과이) |
감독 경력 | |
감독 경력 | 연도: 1981 클럽: 인테르 데 리메이라 연도: 1981 클럽: 타우바테 연도: 1983 클럽: 인테르 데 리메이라 연도: 1987 클럽: 보타포구-SP 연도: 1987 클럽: 코리치바 연도: 1987 클럽: 과라니 연도: 1988 클럽: 모지 미림 연도: 1988 클럽: 포르투게자 연도: 1988–1989 클럽: 스포르팅 CP 연도: 1990 클럽: 모지 미림 연도: 1990–1991 클럽: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연도: 1991 클럽: 모지 미림 연도: 1991–1992 클럽: 노로에스테 연도: 1992 클럽: 노보리존티누 연도: 1995 클럽: 모지 미림 연도: 1996 클럽: 인테르나시오날 연도: 1997 클럽: 교토 퍼플 상가 연도: 1998 클럽: 폰치 프레타 연도: 1999 클럽: 이투아누 연도: 2000 클럽: 칼덴시 연도: 2000 클럽: XV 지 피라시카바 연도: 2000 클럽: 이파칭가 연도: 2001 클럽: 모지 미림 |
2. 선수 경력
페드로 로차는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FIFA 월드컵에 연속으로 4번 출전한 유일한 선수이다.[4] 1967년 코파 아메리카에도 출전했다.[4]
로차는 선수 생활 대부분을 우루과이의 페냐롤과 브라질의 상파울루 FC에서 보냈다. 페냐롤에서는 우루과이 리그에서 8번,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3번, 인터컨티넨탈컵에서 2번(1961, 1966) 우승했다. 상파울루에서는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2번(1971, 1975) 우승했고, 1972년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1977년에는 상파울루의 전국 리그 첫 우승을 이끌었다.
선수 경력 후반에는 코리치바에서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우승을 차지했고, 파우메이라스와 방구를 거쳐 멕시코의 데포르티보 네사와 몬테레이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
2. 1. 클럽 경력
페드로 로차는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우루과이의 페냐롤과 브라질의 상파울루 FC에서 보냈다.페냐롤에서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8번,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3번, 인터컨티넨탈컵에서 2번(1961, 1966) 우승했다. 1963년, 1965년, 1968년에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을 차지했다.
1970년 상파울루로 이적하여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상파울루 주 챔피언십)에서 2번(1971, 1975) 우승했고, 세리에 A에서 1번(1972) 득점왕에 올랐다. 197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득점왕을 차지했다. 상파울루는 세리에 A에서 1971년과 1973년에 2위를 차지했고, 로차의 마지막 해인 1977년, 클럽 역사상 첫 세리에 A 우승을 달성했다.
1978년에는 코리치바 FC로 이적하여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파라나 주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이후 파우메이라스와 방구를 거쳐 1979년과 1980년에는 멕시코의 데포르티보 네사와 몬테레이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4]
2. 1. 1. 페냐롤 (1959-1970)
페냐롤에서 활약하는 동안, 그는 8번의 우루과이 리그 우승 (1959-1962, 1964, 1965, 1967, 1968), 3번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60, 1961, 1966), 인터컨티넨탈컵 2회 (1961, 1966), 그리고 2번의 우루과이 코파 콤페텐시아 (1964, 1967) 우승을 이끌었다.[4] 1963년, 1965년, 1968년에는 우루과이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페냐롤에서의 그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리그 | 주 리그 | 기타 | 총합 | |||||
---|---|---|---|---|---|---|---|---|---|
경기 | 출장 | 골 | 경기 | 출장 | 골 | 경기 | 출장 | 골 | |
1960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0 | — | — | - | 5 | ||
1961 | ? | 1 | — | — | - | 1 | |||
1962 | ? | 8 | — | 6 | 0 | - | 14 | ||
1963 | ? | 18 | — | 4 | 3 | - | 36 | ||
1964 | ? | 10 | — | — | - | 29 | |||
1965 | ? | 15 | — | 9 | 4 | - | 26 | ||
1966 | ? | 3 | — | 16 | 11 | - | 7 | ||
1967 | ? | 6 | — | 4 | 1 | - | 22 | ||
1968 | ? | 8 | — | 14 | 4 | - | - | ||
1969 | ? | 12 | — | 13 | 8 | - | - | ||
1970 | ? | 1 | — | 6 | 4 | - | 4 | ||
총합 | 157 | 82 | — | 72 | 35 | 287 | 234 |
- 표에서 친선경기 관련 열은 삭제되었다.
2. 1. 2. 상파울루 FC (1970-1977)
1970년 로차는 상파울루 FC에 합류하여 1971년과 1975년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에 기여했다.[4] 1972년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고,[4] 1977년, 상파울루에서의 마지막 해에 팀은 창단 이후 처음으로 전국 챔피언이 되었다.[4]시즌 | 리그 | 주 리그 | 친선 경기 | 기타 | 총합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1970 | 15 | 4 | 0 | 0 | - | 0 | — | - | 4 | |
1971 | 15 | 0 | 19 | 5 | 4 | 0 | — | - | 9 | |
1972 | 18 | 18 | 21 | 4 | 0 | 0 | 10 | 3 | - | 25 |
1973 | 34 | 8 | 20 | 6 | 7 | 0 | - | - | - | 21 |
1974 | 11 | 1 | 22 | 6 | 1 | 0 | 13 | 7 | - | 15 |
1975 | 22 | 3 | 32 | 11 | 3 | 0 | — | - | 17 | |
1976 | 11 | 0 | 22 | 9 | 6 | 0 | — | - | 15 | |
1977 | 0 | 0 | 39 | 13 | 0 | 0 | — | - | 13 | |
총합 | 136 | 34 | 175 | 54 | 59 | 21 | 23 | 10 | 393 | 119 |
; 상파울루 FC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2): 1971, 1975
- 세리에 A (1): 1977
2. 1. 3. 기타 클럽
페드로 로차는 선수 경력 후반에 코리치바에서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시 우승을 차지했고, 파우메이라스와 방구에서 브라질 리그에서 활약했다.[4] 1979년과 1980년에는 멕시코의 데포르티보 네사와 몬테레이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4]클럽 | 시즌 | 리그 | 주 리그 | 친선 경기 | 기타 | 총합 | ||||||
---|---|---|---|---|---|---|---|---|---|---|---|---|
경기 | 출장 | 골 | 경기 | 출장 | 골 | 경기 | 출장 | 골 | 경기 | 출장 | 골 | |
코리치바 | 1978 | 세리 A | 20 | 1 | - | 6 | - | 1 | — | - | 8 | |
파우메이라스 | 1979 | 세리 A | 0 | 0 | 0 | 0 | 3 | 0 | 6 | 1 | 9 | 1 |
방구 | 1980 |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 0 | 0 | - | 3 | - | 2 | — | - | 5 | |
몬테레이 | 1979–80 | 리가 MX | 3 | 0 | — | — | — | 3 | 0 |
; 코리치바 FC
- 캄페오나투 파라나엔세 (1): 1978
2. 2. 국가대표 경력
페드로 로차는 1961년 우루과이 대표팀에 데뷔하여 국제 A매치 54경기에 출전해 17골을 기록했다.[4] 그는 1962, 1966, 1970, 1974 대회에 우루과이 대표로 참가하여, 4번의 FIFA 월드컵에 연속 출전한 유일한 우루과이 선수이다. 또한 1967년 코파 아메리카에도 출전했다.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우루과이 | 1961 | 1 | 0 |
1962 | 6 | 0 | |
1963 | 2 | 0 | |
1964 | 0 | 0 | |
1965 | 9 | 5 | |
1966 | 7 | 1 | |
1967 | 10 | 8 | |
1968 | 8 | 1 | |
1969 | 5 | 1 | |
1970 | 3 | 1 | |
1971 | 0 | 0 | |
1972 | 0 | 0 | |
1973 | 0 | 0 | |
1974 | 3 | 0 | |
합계 | 54 | 17 |
페드로 로차는 선수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1988년부터 1989년까지 포르투갈의 스포르팅 CP 감독을 역임했고, 1996년에는 브라질의 SC 인테르나시오날 감독을 맡았다. 1997년에는 일본 J리그의 교토 퍼플 상가(현 교토 상가 FC) 감독을 맡았으나, 팀은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8]
페드로 로차는 71세 생일을 하루 앞둔 2013년 12월 2일 상파울루에서 사망했다.[6] 그는 언어 구사 능력과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퇴행성 질환인 중뇌 위축증을 앓고 있었으며,[5] 휠체어에 의존하며 생활했다. 사인은 유전성 중뇌 위축증으로, 브라질 상파울루 자택에서 사망했다.[13][14][15] 향년 70세.
[1]
웹사이트
PEDRO ROCHA: ídolo do futebol uruguaio que brilhou no São Paulo F.C. – Memórias do Esporte
http://memoriasdoesp[...]
2023-12-02
3. 감독 경력
연도 소속 순위 승점 경기 수 승 패 1997 J1리그 1차 13위 18 16 6 10 J1리그 2차 16위 9 16 3 16
4. 개인 수상 경력
상 내용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 1963, 1965, 1968 코파 아메리카 최우수 선수 1967 인터컨티넨탈 슈퍼컵 득점왕 1968, 1969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득점왕 1972 볼라 지 프라타 197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득점왕 1974 IFFHS 우루과이 남자 드림팀 팀 B
5. 사망
참조
[2]
웹사이트
Uruguay record international footballers
https://www.rsssf.or[...]
2009-06-05
[3]
웹사이트
IFFHS' Century Elections
https://www.rsssf.or[...]
2024-09-01
[4]
웹사이트
Copa América 1967
https://www.rsssf.or[...]
2016-07-22
[5]
웹사이트
Al cumplir 70 años, San Pablo inició campaña para mejorar la situación de Rocha
http://www.tenfield.[...]
Tenfield
2012-12-09
[6]
웹사이트
Ídolo do São Paulo e do Uruguai, Pedro Rocha morre aos 70 anos
http://sportv.globo.[...]
Sportv
2013-12-02
[7]
웹사이트
Pedro Rocha - AUF
https://www.auf.org.[...]
2022-02-21
[8]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9]
웹사이트
Supercopa 1969
https://www.rsssf.or[...]
[10]
웹사이트
IFFHS All-Time Uruguay Men's Dream Team
https://www.iffhs.co[...]
IFFHS
2021-08-05
[11]
웹사이트
Uruguay record international footballers
http://www.rsssf.com[...]
[12]
웹사이트
Copa América 1967
http://www.rsssf.com[...]
RSSSF
[13]
뉴스
ペドロ・ローシャ死去=ブラジルで愛されたウルグアイの英雄
ニッケイ新聞
2013-12-04
[14]
웹사이트
Al cumplir 70 años, San Pablo inició campaña para mejorar la situación de Rocha
http://www.tenfield.[...]
Tenfield
2012-12-09
[15]
웹사이트
Ídolo do São Paulo e do Uruguai, Pedro Rocha morre aos 70 anos
http://sportv.globo.[...]
Sportv
2013-12-02
[16]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